티스토리 뷰
예비군 마크 예비군 훈련과 동원 예비군에 대한 상세 정보
@!@## 2024. 1. 24. 11:12
예비군 훈련과 동원 예비군에 대한 이해는 국방력 유지와 국가 안전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이 포스팅에서는 주요 정보를 정리하여 예비군 마크 와 관련된 내용을 알아보겠습니다.
예비군 훈련 연차에 따른 훈련 과정과 일정
- 공군 예비군 1~4년 차 : 2박 3일 동원 훈련을 받습니다.
- 공군 예비군 5~6년 차 : 전반기와 후반기 작계훈련 6시간씩, 기본 훈련 8시간을 받습니다.
- 공군 예비군 7~8년 차 : 훈련 없이, 9년 차부터 민방위 소속입니다.
동원 훈련과정 및 일정
- 1일 차 : 입소식, 총기 수령, 서바이벌 게임, 이론교육, 정훈교육.
- 2일 차 : 화생방 훈련, 사격 훈련.
- 3일 차 : 직무교육 이론, 실습, 총기 반납, 퇴소식.
- 비가 오면 모든 일정이 실내 교육으로 대체됩니다.
조기퇴소 방법
- 입소 후 향방작계를 받은 사람은 아침에 조기퇴소 가능합니다.
- 전체적으로 훈련을 잘 받으면 단체로 조기퇴소 가능합니다.
- 사격에서 과락하면 재 사격을 해야 하므로 조기퇴소 불가능합니다.
작계 훈련과 기본 훈련 내용
- 작계 훈련은 주간과 야간, 전반기와 후반기로 나뉩니다.
- 기본 훈련은 군복을 입고 각종 훈련을 받는데, 상위권에 속한 조가 조기퇴소 가능합니다.
현재 상황
코로나로 인해 예비군 훈련이 연기되어 전반기 훈련은 이미 참석으로 처리되었으며, 후반기와 기본 훈련이 남아있습니다.
예비군 마크
이제 예비군 마크 에 대해 알아봅시다.
예비군의 종류와 전시소집 기준
- 예비군은 동원예비군과 향방예비군으로 나뉘며 훈련과 전시소집 기준이 각각 병역법과 향토예비군설치법에 따라 다릅니다.
- 동원예비군은 전시에 현역과 동일하게 취급되며 주로 전시소집부대로 전방 전투부대나 동원사단, 전시창설부대에 소속됩니다.
예비군 지정과 특기
- 예비군은 주소와 숫자에 따라 지정되며, 향방예비군은 개인별로 군사특기가 지정됩니다. 특기 전역자는 대체적으로 그 특기로 지정됩니다.
훈련 내용의 차이
- 예비군은 14년차, 56년차 보충역 예비군의 경우 훈련 내용과 일정이 상이하며, 현역출신 예비군과 대학생 예비군도 훈련 내용이 다를 수 있습니다.
예비군 마크 부착 위치
- 예비군 마크 는 큰 것은 모자, 작은 것은 전투복과 야전상의에 부착됩니다. 왼쪽 주머니 바로 위 정가운데에 부착됩니다.
예비군 훈련과 동원 예비군에 대한 이해는 국방력 유지와 국가 안전에 기여하는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예비군 마크 의 부착 위치와 예비군의 종류, 훈련 내용의 차이를 알고 예비군에 대한 정보를 정확하게 이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예비군 종류 |
전시소집 기준 |
특기 |
훈련 내용의 차이 |
마크 부착 위치 |
동원예비군 |
병역법에 따름 |
지정 안됨 |
다양함 |
모자 또는 전투복 |
향방예비군 |
향토예비군설치법에 따름 |
특기 전역자 |
상이함 |
야전상의 왼쪽 주머니 위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