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연차수당 계산기 간편이용

@!@## 2019. 5. 30. 16:21

 

앱스토어에서 이번 시간에는 통상임금과 연차수당을 확인해볼수 있는 방법에 대해서 안내를 해드려보도록 할게요. 어렵지 않게 확인해볼수가있는 방법인데요. 안내하는 연차수당 계산기는 간단하게 입사일자등의 정보를 입력하면 자동으록 계산되어져 나옵니다.

 

 

 

그렇기 때문에 아주 편리하고 쉽게 확인이가능한데요. 여러분들도 안내해드리는데로 한번 이용해보세요. 자 그럼 안내를 해드려보도록 할게요. 그전에 먼저 근로기준법에 대한내용부터 잠깐 살펴보도록 할까요

 

 

 

연차에 대한 법적인 내용인데요. 근로기준법 제 60조에 명시가 되어져있어요. 1년간 80퍼센트 이상 출근한자는 15일의 유급휴가를 제공하게 되어져있어요. 연차수당 은 통상임금으로 계산이 되어지게 되는데요.

 

 

근로기준법상의계산공식은 통상임금 x 근로시간(8시간) x 남은연차 로 계산이 되어집니다.

 

 

계산공식은 간단하긴 하지만 통상임금이라는 용어가 조금 어렵죠 그래서 연차수당 계산기를 이용 해보시면 됩니다. 검색엔진에서 유리지갑 검색을 해보세요.

 

 

 

그럼 이렇게 연차수당 통상임금에 대해서 계산을 해볼수 있는 사이트가 나옵니다. 여기에 보시면 우측에 연차수당 전용 계산기가 있을거에요. 이 메뉴를 클릭을 하시게 되면 바로 수당 계산이 되어지게 되는데요. 통상임금도 따로 계산해볼수가 있어요.

 

 

연차수당 계산기를 눌러주시게 되면 자동으로 휴가일수와 통상임금 그리고 최종적으로 수당까지 한번에 모두 계산이 되어지게 됩니다. 이용방법도 아주 간단해요. 위에서부터 차근차근 입력해주면 되요.

 

 

그럼 이렇게 나오게 되어지실거에요. 여기에다가 입사일자와 월기본급, 그리고 월수당을 입력해주세요. 입력을 하시게 되었다면 이제 근로조건만 입력햊고 연차수당 계산 버트만 눌러주면 결과가나오게 되어집니다.

 

 

이렇게 연차수당 통상임금으로자동 계산이 되어지게 되었는데요. 17일의 연차가 있다고 한다면 165만원의 수다이 발생을 하네요. 이 사이트에서 휴가일수만 따로 계산할수도 있고 통상임금도 따로 계산할수가 있어요. 최종적으로 휴가수당도 계산이 한번에 되니 안내에 따라서 이용해보세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