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서울형 기초보장제도는 복지 사각지대에 있는 취약계층을 위한 서울시의 지원 프로그램입니다. 이 제도는 기초생활수급자 지원 조건에 해당하지 않는 이들에게 생계급여를 제공하며, 2024년부터 소득 및 재산 기준이 완화되어 더 많은 사람들이 혜택을 받을 수 있게 되었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서울형 기초보장제도의 주요 내용과 지원 내역을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생계급여 신청 조회하기

 

서울형 기초보장제도란?

서울형 기초보장제도는 비수급 빈곤층에게 생계급여, 해산급여, 장제급여 등을 지원하는 제도입니다. 2013년부터 시작된 이 제도는 매년 개선과 확장을 거듭하고 있으며, 특히 2023년 4월부터는 소득 및 재산 기준이 완화되었습니다. 이로 인해 보다 많은 분들이 지원을 받을 수 있는 기회를 가지게 되었습니다.

 

 

생계급여 지원 금액

2024년 서울형 기초보장제도 생계급여는 작년 대비 14.4% 증가하여 역대 최대 인상폭을 기록했습니다. 지원 금액은 다음과 같습니다:

 

 

가구 구성

지원 금액 (월)

1인 가구

356,551원

2인 가구

589,218원

3인 가구

754,345원

4인 가구

916,786원

5인 가구

1,071,318원

6인 가구

1,218,939원

 

생계급여는 소득에 따라 차등 지급되며, 최대 지원액은 맞춤형 생계급여의 1/2 수준으로 설정되어 있습니다. 이러한 지원은 생활이 어려운 가구에 큰 도움이 됩니다.

 

 

선정 기준

서울형 기초보장제도의 선정 기준은 소득 기준과 재산 기준으로 나뉩니다.

 

소득 기준

2024년부터 소득 기준이 완화되어 중위소득 47%에서 48% 이하로 변경되었습니다. 월소득 기준은 다음과 같습니다:

 

가구 구성

월소득 기준

1인 가구

1,069,654원

2인 가구

1,767,652원

3인 가구

2,263,035원

4인 가구

2,750,358원

5인 가구

3,213,953원

6인 가구

3,656,817원

 

재산 기준

재산 기준은 가구 재산이 2억 5천4백만 원 이하로 설정되어 있으며, 주거용 재산에 대한 추가 공제도 제공됩니다. 또한, 29세 이하 청년층의 근로소득 공제가 확대되었습니다.

 

 

신청 방법

서울형 기초보장제도의 생계급여 신청은 상시 가능하며, 주민등록상 주소지 관할 동 주민센터에서 신청할 수 있습니다.

 

생계급여 신청 조회하기

 

신청 요건으로는 주민등록상 거주지가 서울이어야 하며, 거주하는 동주민센터에서 연중 상시 접수가 가능합니다.

 

생계급여 제외 조건

다음 조건에 해당하는 경우 생계급여 지원에서 제외됩니다: - 국민기초 생계, 의료, 주거급여 중 최소 1개 이상 수급 중 - 차량 소유자로 소득환산율 100% 적용 - 금융재산 3천6백만 원 초과 - 부양의무자의 연소득 1억 원 초과 또는 일반재산 9억 원 초과

 

서울형 기초보장제도가 많은 분들에게 도움이 되기를 바랍니다!

서울형 기초보장제도는 생활이 어려운 비수급자들에게 실질적인 지원을 제공하는 중요한 제도입니다. 소득 및 재산 기준이 완화됨에 따라 더욱 많은 사람들이 혜택을 받을 수 있게 되었습니다. 필요한 경우 꼭 지원을 고려해보시기 바랍니다. 더 많은 정보를 원하시면 생계급여 신청 조회하기에서 확인해보세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