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이번 시간에는 국민연금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할까요? 아마도 회사에 근무를 하시고 있으시다면 모두가 4대 보험에 의무적으로 가입이 되어져있을겁니다. 그중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게 바로 국민연금이에요.

 

 

 

 

급여에서 원청징수 되어져 먼저 빠져나가게 되어지는데요. 매번 빠져나가고 있는데 늘 궁금하실겁니다. 나중에 얼마정도를 다시 받을수가 있을까 하고요. 그래서 국민연금 수령액 계산기를 준비해보았습니다.

 

 

 

어렵지 않게 공식 국민연금 홈페이지를 통해서 국민연금 수령액 계산을 해보실수가 있으신데요. 메뉴를 찾아들어가는게 조금은 복잡할수가 있어요. 그래서 아래 링크 준비했는데요. 눌러주시면 이렇게 인증하고 확인하는 기능이 있어요.

 

 

 

그리고 또 인증없이도 간단하게 바로 확인해볼수가 있는 메뉴도 있으신데요. 자세히 알아보고 싶다면 인증하고 계산해볼수 있는 메뉴를 이용하시면 됩니다. 국민연금

 

 

 

 

이렇게 인증없이 조회를 해볼수가 있는 메뉴가 있으실건데요. 여기에서 저는 더욱더 간단하게 확인해볼수가 있는 '예상연금 간단조회'를 해보도록 할거에요.

 

 

 

그럼 팝업창이 발생하게 되어지면서 간단하게 월납입보험료를 계산해볼수가 있는 화면이 나오게 되어집니다. 여기에 여러분들의 월납입보험료를 입력해주시면 됩니다.

 

 

임의로 월보험료를 30만원으로 입력을 해보았어요. 입력을 하고 나서 예상연금액 조회하기를 눌러주시게 되면 바로 결과가 나오게 되어지실건데요. 여기에서 보시면 노령연금이 가입년수에 따라서 달라지게 되어져있는게 있죠.

 

 

그리고 하단에 보시면 '노령연금 예상 월액표'라는게있는데요. 급여수준에 따라서 수령가능한 보험금을 정리해둔 엑셀파일이에요. 이 파일을 다운로드 받아서 보셔도 편리합니다. 오늘은 국민연금 수령액 계산을 해보는 방법 살펴보았습니다.

 

 

댓글